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정보

ELS란? ELS 뜻, 특징, 장단점, 투자방법 총정리

by 빅머니의꿈 2023. 3. 2.
반응형

ELS


ELS 뜻

ELS는 Equity Linked Security의 약자로, 주가와 연계되어 수익률이 정 해지는 상품이다. 이렇게 정의가 되어 있어서 처음에 이해하기 어려워서 풀어진 의미를 찾아보았다.
 
ELS는 주가의 변화에 따라 수익률이 정해지는 상품으로, ELS상품과 연계된 주가가 일정 비율 이상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경우에 정해진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특정 조건에 도달하는 경우 정해진 수익률을 얻게되는 구조이다.
갑이라는 사람이 테슬라 주식을 1주 샀고, 을이라는 사람이 테슬라 주식과 연계된 ELS상품을 샀다고 쳤을 때, 을이 투자한 ELS의 경우에 테슬라 주가가 10% 이상 하락하지 않으면 5%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주식에 직접 투자한 갑은 주가 변화에 따라 수익률이 똑같이 변하고 을의 경우 테슬라 주가가 많이 오르든 내리든 -10% 이상만 되지 않으면 수익률 5%를 먹는다.
 


ELS 기초 자산

ELS는 주가와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각 상품마다 연계되어 있는 기초 자산의 종류가 있고, 대표적으로 3가지가 있다.
 

지수 코스피 200, 나스닥 100 등의 지수
주식 개별 종목 테슬라, 애플, 삼성전자 등 개별 주식 종목
혼합 지수와 주식종목이 섞인 형태의 지수

 
ELS는 지수나 주식 종목을 기초 자산으로 삼는데, 이의 주가가 특정 가격에 도달하면 수익을 얻게 되는 것이다. 혼합형태의 기초자산은 지수와 주식 개별종목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해서 수익을 얻기가 더 까다롭다.
 


ELS 원금보장?

ELS는 원금 보장이 되는 것도 있고, 안되는 것도 있다. 이에 따라서도 종류가 세 가지로 나뉜다.
원금보장형/ 원금부분보장형/ 원금 조건부 보장형
 
원금이 보장되는 것은 수익률은 낮지만 안전하고, 원금 보장이 안 되는 것은 당연히 수익률이 더 높다.
 


ELS 수익구조의 종류

녹아웃형 투자기간 중 사전에 정해준 주가 수준에 도달하면 확정된 수익으로 조기상환되며, 그 외의 경우 만기시 주가 수익에 따라 수익이 정해짐
불스프레드형 만기시점의 주가수준에 비례하여 손익을 얻고, 최대수익 및 최대 손실이 정해져 있는 구조
디지털형 만기 시 주가가 일정수준을 상회하는지에 따라서 사전에 정한 두가지 수익 중 한가지가 지급되는 것
리버스컨버터블형 미리 정한 하락폭 이하 주가로 하락하지만 않으면 약정된 수익률을 지급하며, 그 이하로 하락하면 원금손실이 발생

 


ELS의 특징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만기가 존재한다는 점, 정해진 기간에 상품 가입이 가능하다는 점과, 대부분의 상품이 만기가 될 때까지 -50%까지 내려가지 않으면 정해진 수익률을 지급하는 방식의 상품들이 많다는 점이 있다.
 
보통 3년 이내의 상품들이 많고 만기까지 정해진 주가 아래로 떨어지지 않으면 약속된 수익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품 가입 기간이 정해져 있는데, 증권사 등에서 ELS 상품가입기간이라고 알리면 그 시기에 맞추어 ELS를 가입하면 된다. 
 
기초자산과 원금보장 유무를 선택할 수 있어 선택의 폭이 넓고, 은행이자보다 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단점도 있는데, 만기 기간(보통 3년) 중에는 돈이 묶여있고 중도상환 시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다. 또한 주식처럼 수익의 15.4%의 세금이 부과된다.
 


ELS의 투자 포인트

요즘 같이 주식장이 많이 하락했을 때 지수가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적다면 일정 하락하더라도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ELS가 좋은 투자처가 될 수 있다.

 

 

함께보면 좋을 글▼

주식 선물 거래 뜻, 위험한 이유

사모펀드란? 뜻,개념, 특징 정리

 P2P투자에 대한 총정리(개념,장단점, 사이트 등)

2023년 삼성전자 주식 언제 사야할까?

비과세 혜택 받고 투자하는 ISA계좌 총정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