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정보

세액공제 혜택받는 연금저축과 IRP 차이점, 장단점 비교(23년 개정안 반영)

by 빅머니의꿈 2023. 1. 17.
반응형


연금저축이란?

연금저축은 소득과 무관하게 누구나 가입가능하며, 연말정산 세액공제 혜택이 있는 금융상품.
가입기간 5년 이상, 만 55세 이상부터 해당 계좌를 이용하여 납입한 금액을 연금형태로 수령 가능(퇴직급여 수령 시에는 가입기간 상관없이 55세 지나면 가능)

- 보험사, 은행, 증권사 어디에 가입하는지에 따라 보험/신탁/펀드로 나뉨
※ 연금저축 펀드는 펀드, ETF, 리츠에 투자
- 중도인출 가능(일부 분리과세 허용)
- '23년 개정되어 세액공제 한도 연 600만 원까지 가능
※IRP+연금저축 최대 공제한도 900만 원/ 즉, 연금저축 600 + IRP 300까지 가능
- 연간 최대 납입한도 1,800만원

 

개인형 퇴직연금 IRP란?

근로자(소득이 있는 직장인, 자영업자 등)가 이직하거나 퇴직할 때 받은 퇴직 급여를 일시불로 받거나 연금화 하여 수령할 수 있도록 한 계좌 ▷IRP 관련 자세한 정보는 아래 게시물 참고

 

연말정산 세액공제 받는 개인형 퇴직연금(IRP) 총정리 - 23년 개정 반영

개인형 퇴직연금계좌 IRP란? IRP계좌란, 근로자가 연금 등 노후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계좌로 근로자가 펀드, 주식, 예금 등으로 자금을 굴려 수익을 내는 방식으로 연금을 직접 운영할 수 있고

neull04088.tistory.com

 

 

연금저축 VS IRP 한눈에 비교

  연금저축 IRP
공통점 - 노후준비를 위해 계좌에 스스로 돈을 입금하여 상품선택을 통해 수익을 운용하고, 만 55세에 수령 하는 노후준비를 위한 상품.

- 과세이연(복리효과) 및 저율과세

- 세액공제 혜택

- 납입한도 1,800만 원
차이점

계좌개설 당시 소득 없어도 누구나 가입 가능 계좌개설 당시 소득이 있어야 가입 가능
중도인출 가능 중도 인출 불가
계좌관리 수수료X
* 펀드/ETF 운용 보수는 있음
계좌관리 수수료O
세액공제 한도 600만원까지
(연금저축 만)
세액공제 한도 900까지 (IRP+연금저축)
즉, 연금저축 600만원 했을 때 IRP 300만원 가능
위험자산에 납입액 100% 투자 가능 납입액 중 70%만 위험자산에 투자가능

 

 

연금저축, IRP 세액공제 대상 납입한도(23년 개정안)

※ 연금계좌 세액공제 대상 납입한도 확대 및 종합소득 금액 기준 합리화

총급여
(종합소득금액)
연금저축+IRP 세액공제 납입한도
(연금저축만 세액공제 납입한도)
세액공제율
나이 상관 없이
5,500만원 이하
(4,500만원)
900만원
(600만원)
16.5%
5,500만원 초과
(4,500만원)
13.2%

기존에는 연금저축+IRP 세액공제 연 납입한도가 50세 미만 700만 원이었지만, 이제는 나이 상관없이 900만 원으로 200만 원이 확대되었고, 연금저축은 기존 400만 원에서 600만 원으로 올랐다.
또한 총 급여 기준도 간소화되었다.
개정안이라서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통과될 확률이 높아서 해당으로 기재하였다.

마무리

해당글에 차이점을 살펴보면, 아시겠지만 중도인출과 수수료 등의 측면에서 IRP보다 연금저축이 더 유리한 점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세액공제 한도가 IRP가 더 높기 때문에, 세액공제에 가장 똑똑하게 넣는다면 연 기준 연금저축 600만 원+IRP 300만 원을 납입하는 것이 가장 좋고 여윳돈이 없으면 연금저축부터 넣는 것이 더 좋을 듯하다.
만 55세까지 넣었던 돈을 해지 없이 중도인출 및 담보대출이 가능한 부분이 IRP와 비교되는 연금저축의 큰 차이점이 아닌가 싶다.


▷ 같이 보면 좋을 게시물

 

연금저축계좌에 투자하기 좋은 ETF 추천 및 분석(연금저축펀드, IRP)

연금저축계좌(연금저축펀드, IRP)에 대해서 연금저축 계좌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은, 먼저 아래의 관련 게시글을 먼저 읽고 오시면 도움이 될듯하다. ○ 연말정산 세액공제받는 개인형 퇴직

neull04088.tistory.com

 

[23년 경제전망] 최악의 경기 침체에서 직장인이 살아남는 방법(by.김광석)

경기침체란 무엇이고, 올해는 어떨까 2023년은 경기침체가 올 것이라고 본다. 우리나라 여러의 민간, 공공기관들이 경기침체를 전망하고 있다. 매년 경제전망을 분석하는데, 올해 우리나라 경제

neull04088.tistory.com

 

[한국증시 전망] 2023년 삼성전자 주식 언제 사야할까?

2023년 한국 증시 전망 2023년 주식시장 전망은 1분기가 저점일 것이라고 본다. 그런데 23년 전체가 추세적으로 옳은 장은 아닐것이다. 금리 인상으로 본격적으로 경기가 침체에 빠지고 내년에는

neull04088.tistory.com

 

해외 고배당주 투자로 연 500만원 받는 나만의 가상포트폴리오 만드는 방법

0. 서론 누구나 ‘주식으로 월세 받기’를 꿈꾼다. 그중 하나의 방식이 배당주 투자이다. 물론 건물 월세를 받으면 좋겠지만 집 매매를 하기 위한 초기 자본금도 필요하고, 직장인이라면 건물관

neull04088.tistory.com

 

반응형